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노마드

스마트스토어를 위한 사업자 등록 신청하기

by 상큼청귤 2022. 4. 15.
반응형

스마트 스토어를 위한 사업자 등록 신청하기

 

 

오늘은 스마트 스토어 입점을 위한 사업자 등록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직장을 다니시는 직장인이시라면 겸직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알아보시는 게 필요합니다. 

직장에 따라 겸업을 금지하는 곳이 있으니 잘 알아보고 결정하시는 게 필요합니다. 

 

하지만 스마트 스토어는 꼭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고 개인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 판매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개인으로 시작하셨다가 차후 사업자 등록을 하시면 중간에 전환이 가능하십니다. 

 

사업자 등록은 '국세청홈텍스'에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사업자 등록 신청하기 절차

 

 

 

① 국세청 홈텍스에 들어가시면 '신청/제출'을 클릭하시고 '사업자등록 간편 신청(개인)-통신판매업'을 선택합니다. 

 

 

 

②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하시면 기본 인적사항이 자동 입력되어 나옵니다.  나머지 휴대전화 번호, 문자나 메일 수신 동의 등을 선택하시어 체크합니다.  만약 가게 또는 사무실 등 사업장이 있으시다면 '임대차 계약서'를 첨부합니다.  

 

 

 

'사업자 정보입력' 항목에 '상호명' '개업 일자', '주소지'를 등록합니다. 

 

 

 

④ 업종 선택 시 '업종 입력/수정'을 클릭합니다. 

 

 

업종 선택 중 일반 대중을 상대로 온라인 판매를 하는 '스마트 스토어'의 경우, '525101' 전자상거래 소매업을 선택합니다.  그 외에 SNS 판매업이 따로 있으니 적용범위와 기준을 참고하시어 선택합니다. 

 

 

 

⑥ 업종 선택 후 사업자 유형 선택에서 일반 또는 간이를 선택합니다. 

간이 사업자의 경우 연 공급대가가 4,800만 원 미만이면 부가세 납부의무가 면제되는데, 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그 이상의 공급대가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일반으로 전환이 된다고 하니 처음엔 '간이'로 선택하여 시작합니다. 

 

 

 

⑦ 다음 관련된 서류를 제출하는 화면이 뜨는데 사업장이 있는 분들이라면 '임대차 계약서'를 제출하시고 없으시다면 바로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증빙서류 역시 없으면 '다음' 버튼을 눌러줍니다. 

 

 

 

⑨ 마지막으로 '최종 확인'화면이 뜨는데 아래쪽 '확인하였습니다' 버튼을 누르시고 '제출서류 확인하기'를 눌러 다시 한번 확인을 한 후 '신청서 제출하기'를 누르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 신청 후 하루 정도 내에 승인이 되면 안내 문자가 옵니다.  이후 '국세청 홈텍스'에 다시 로그인하셔서 출력하실 수 있습니다.  (민원증명 -> 사업자등록증 재발급 -> 출력)

 

이상으로 스마트 스토어 사업자 등록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